나르시시스트 (3) 썸네일형 리스트형 50_나르시시스트와 공감 능력이 부족한 사람의 차이점 목차겉모습만 보면 헷갈리기 쉬운 두 유형공감 능력이 부족한 사람의 특징나르시시스트의 공감 결핍은 의도적진심 없는 공감과 진짜 무관심의 차이관계에서 드러나는 핵심 차이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처 방법우리는 어떤 사람을 곁에 두어야 할까 겉모습만 보면 헷갈리기 쉬운 두 유형일상에서 누군가의 차가운 말투, 무관심한 반응, 자기중심적인 행동을 보고 ‘혹시 나르시시스트 아닐까?’라는 의심을 하게 될 때가 있죠. 그런데 그런 사람이 실제로는 단지 공감 능력이 부족한 사람일 수도 있어요. 이 두 유형은 겉으로 보기엔 비슷할 수 있지만, 내면의 동기와 행동 방식에서 결정적인 차이가 있습니다.나르시시스트도 공감 능력이 부족해 보이고, 공감 능력이 부족한 사람도 자기중심적으로 행동할 수 있기 때문에 둘을 구분하지 않으면 잘.. 49_나르시시스트는 왜 미안하다고 사과하지 않을까? 목차나르시시스트는 사과를 두려워합니다사과가 곧 굴복이라 믿는 심리책임 회피를 위한 전략적인 침묵피해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화법사과 없이도 상황을 지배하는 기술사과받지 못한 사람의 상처진심 없는 사과를 구분하는 법회복을 위해 기억해야 할 것들 나르시시스트는 사과를 두려워합니다일반적인 사람들은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었거나 실수를 했을 때 미안하다는 말을 합니다. 잘못을 인정하고, 관계를 회복하려는 인간적인 감정이 작용하죠. 그런데 나르시시스트는 이런 사과가 참 어렵습니다. 그들에게 사과는 단순한 표현이 아니라, 자신의 '결함'을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이에요.나르시시스트는 내면 깊숙이 취약한 자존감을 가지고 있어요. 겉으로는 자신만만해 보이지만, 사실 비난이나 수치심에 굉장히 예민합니다. 그래서 사과라는 행위 자.. 01_나르시시스트란 무엇인가? – 자기애성 인격장애의 정의와 특징 1. 나르시시스트의 정의와 유래‘나르시시스트’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이 용어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나르키소스’라는 인물에서 유래했는데요, 나르키소스는 자기 얼굴에 반해 물가를 떠나지 못하고 결국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이런 상징적인 이야기가 오늘날 정신의학에서는 ‘자기애성 인격장애(NPD)’라는 개념으로 발전했습니다. 정신질환 진단 지침서인 DSM-5에 따르면, 나르시시스트는 지나친 자기중심성, 끊임없는 칭찬 욕구, 그리고 공감의 부족을 주요 특징으로 가집니다. 정신분석의 대가 프로이트는 이를 ‘자기 리비도’의 병리적 고착으로 설명했고, 코후트는 어릴 적 제대로 된 공감과 지지, 즉 ‘거울-자기 경험’이 부족할 때 생긴다고 봤습니다. 겉으로는 자신감 넘쳐 보이지만, 실제로는 자존감이 취약해서 이..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