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르시시스트

14_나르시시스트는 어떻게 상대를 길들이는가?

 


  목차

  1. 처음엔 이상적인 관계처럼 다가옵니다
  2. 인정과 칭찬으로 기대감을 심어요
  3. 점점 기준을 바꾸며 조종을 시작합니다
  4. 죄책감과 불안을 유도해 심리적으로 통제해요
  5. 이중적 태도로 혼란과 의존을 유발합니다
  6. 길들여지지 않기 위한 자기 보호법

 

 

1. 처음엔 이상적인 관계처럼 다가옵니다

나르시시스트는 관계의 시작 단계에서 매우 이상적이고 완벽한 사람처럼 다가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대방이 원하는 모습에 맞춰 친절하게 행동하고,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이며, 때로는 깊은 이해와 공감을 보여주는 것처럼 행동하죠.
이 단계에서는 상대는 “이 사람은 정말 특별하다”는 감정을 느끼고, 빠르게 마음을 열게 됩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나르시시스트가 관계의 주도권을 쥐기 위한 초기 포석일 수 있습니다.
상대를 깊이 파악하고 나면, 본격적인 심리적 길들이기가 시작돼요.

 

2. 인정과 칭찬으로 기대감을 심어요

처음에는 칭찬과 인정이 넘칩니다.
“너 같은 사람은 처음이야”, “넌 정말 특별해”라는 말들은
상대방의 자존감을 빠르게 끌어올리면서 동시에, 나르시시스트에게 의존하게 만드는 도구로 작용해요.
상대는 이 관계에서 특별한 존재가 된 것 같은 느낌을 받고, 그 기대에 부응하고 싶어지죠.
하지만 이런 칭찬은 지속되지 않고, 일정 시점 이후 갑작스러운 무관심이나 비판으로 전환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상대를 혼란스럽게 만들고, 이전의 관심을 다시 얻기 위해 더욱 노력하게 만드는 심리 구조를 형성하게 됩니다.

 

3. 점점 기준을 바꾸며 조종을 시작합니다

처음에 보여줬던 관심과 애정은 점점 줄어들고, 대신 기준이 점점 까다로워지는 상황이 시작돼요.
이전에는 칭찬받던 행동이 어느 순간 “왜 그걸 그렇게 해?”, “예전 같지 않네”라는 식으로 평가받게 됩니다.
이런 식의 태도 변화는 상대방이 혼란을 느끼게 만들고,
“내가 뭘 잘못했을까?”, “예전처럼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지?”라는 생각에 빠지게 하죠.
결국 상대는 나르시시스트의 기대에 맞춰 행동하려고 노력하는 순응적인 태도를 취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길들임’의 핵심입니다.

 

4. 죄책감과 불안을 유도해 심리적으로 통제해요

나르시시스트는 상대가 스스로를 의심하고, 죄책감을 느끼게 만드는 말과 행동을 자주 사용합니다.
“너 때문에 내가 이렇게 된 거야”, “넌 항상 문제를 일으켜” 같은 말들은
상대의 죄책감을 자극하여 책임을 떠맡게 만들고,
결국 자신이 틀린 게 아닐까 하는 불안감 속에 상대가 스스로 조심하게 만들어요.
또한, 사랑과 무시를 반복하면서 상대의 감정 기복을 조절하게 되고,
점점 나르시시스트의 반응에 따라 감정을 조절하는 사람이 되어가게 됩니다.
이런 방식은 정서적 학대의 한 형태로, 매우 은밀하고 지속적인 영향을 줍니다.

 

5. 이중적 태도로 혼란과 의존을 유발합니다

가장 큰 문제는 이들이 일관되지 않은 태도를 보인다는 점이에요.
한순간은 따뜻하고 사랑이 넘치다가, 다음 순간엔 차갑고 무관심한 태도를 보입니다.
이러한 ‘간헐적 보상’은 심리학적으로도 상대를 중독처럼 만들 수 있는 강력한 패턴입니다.
상대는 “이번엔 기분이 좋아 보이네”, “다시 예전처럼 돌아온 걸까?” 하는 기대감을 갖고,
자신도 모르게 더 많은 에너지를 관계에 쏟게 됩니다.
결국 스스로 벗어나기 어려운 감정적 의존 상태에 빠지는 것이죠.

 

6. 길들여지지 않기 위한 자기 보호법

이러한 심리적 길들이기에 빠지지 않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관계 속에서 자신이 느끼는 불편함을 스스로 인식하고 언어화하는 능력입니다.
“왜 내가 이렇게 애쓰고 있지?”, “이건 내가 원해서 하는 행동일까?”
이런 질문을 스스로에게 자주 던져보는 것이 중요해요.
또한 나르시시스트가 주는 평가나 감정에 과도하게 반응하지 않고,
냉정하게 거리를 둘 수 있는 ‘심리적 독립성’을 키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필요하다면 주변 사람들과 감정을 나누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관계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을 갖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