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1. 공감 능력은 선천적인 성향일까요?
공감은 단순한 친절이나 배려와는 조금 다른 차원의 능력이에요.
타인의 기분, 상황, 감정을 자신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상대의 입장에서 느끼고 이해하는 능력이죠.
일부 심리학자들은 공감 능력이 어느 정도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경향이 있다고 보지만,
중요한 것은 자신의 정서적 안정성과 자아의 유연성에 따라 그 공감 능력이 발달하거나 제한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즉, 공감은 타고나기도 하지만, 성장 환경과 내면 구조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2. 나르시시스트의 자아 구조는 방어적입니다
나르시시스트는 표면적으로는 자신감이 넘쳐 보이지만, 실제로는 취약한 자아를 방어하기 위해 외부를 통제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들은 어릴 적부터 조건부 사랑을 받았거나, 감정 표현이 억압된 환경에서 자라면서
자신의 진짜 감정을 인식하고 다룰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아요.
이로 인해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능력 또한 제한될 수밖에 없죠.
그들은 공감하는 순간, 자신이 무력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공감을 회피하거나 억압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3. 타인의 감정보다 자기 감정이 우선이에요
나르시시스트는 대개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최우선으로 생각합니다.
누군가 슬퍼하거나 분노하거나 어려움을 토로할 때, 이를 진심으로 들어주는 것보다는
“그건 내가 겪은 일에 비하면 별거 아니야” 혹은 “나도 그랬는데, 난 이겨냈어” 같은 반응으로
자신의 경험을 중심으로 감정을 해석하고 비교하려 합니다.
이는 공감이 부족하다기보다, 감정을 ‘이해하는 방식’ 자체가 자기중심적으로 굳어져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어요.
그래서 종종 위로조차도 상대를 위한 게 아니라, 자기 자아를 과시하는 방식으로 전달되기도 하죠.
4. 감정을 느끼는 것과 이해하는 것은 다릅니다
감정을 ‘느끼는 능력’과 ‘이해하는 능력’은 다릅니다.
나르시시스트 역시 분노, 질투, 외로움, 슬픔 같은 감정을 느끼지만,
그 감정을 타인의 입장에서 재구성하거나 해석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어요.
이들은 타인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기보다는 논리로 분석하거나 평가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예를 들어, “그 정도 일로 왜 그렇게까지 화를 내?” 같은 반응은 감정을 억누르고,
상대의 감정 상태를 부정하거나 조롱하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어요.
결국 대화나 관계 속에서 감정 교류가 점점 단절되고, 상대는 위로받기보다 오히려 상처를 입게 됩니다.
5. 공감을 이용하거나 조작하는 경우도 있어요
공감이 전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나르시시스트는 필요할 때 공감을 흉내낼 수 있는 능력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의 동정을 얻어야 할 상황이나, 누군가를 끌어들이기 위한 순간엔
상대의 감정을 잘 파악하고, 의도적으로 감정을 자극하는 말과 행동을 하기도 해요.
이런 식의 전략적 공감은 진짜 감정과는 다르며, 상대방을 조종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습니다.
이들은 때로는 “그땐 네가 힘들었지”라며 다정하게 말하다가도,
자신에게 불리한 상황이 되면 태도를 바꿔 상대의 감정을 무기처럼 활용하기도 하죠.
6. 이들과의 관계에서 감정 상하지 않으려면
가장 중요한 것은, 이들이 공감해주지 못한다고 해서 내 감정이 틀린 건 아니라는 사실을 잊지 않는 거예요.
나르시시스트는 자신의 방식으로만 감정을 해석하기 때문에,
그들의 반응을 내 감정의 기준으로 삼으면 자존감에 큰 상처를 입을 수 있어요.
감정을 공유하고 싶은 순간에도 상대가 아닌 다른 사람이나 전문가에게 털어놓는 선택이 더 나을 때가 있습니다.
또한, 나르시시스트의 반응에 실망하거나 화가 날 때는
그들에게 ‘왜 그걸 몰라주지?’라고 기대하기보다는, 기대 자체를 조정하고 감정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내 마음을 지키는 방법이 될 수 있어요.
'나르시시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_나르시시스트가 상대를 질투하게 만드는 심리 (0) | 2025.07.01 |
---|---|
16_나르시시스트는 왜 항상 자신이 피해자라고 주장할까? (0) | 2025.07.01 |
15_나르시시스트는 왜 주변 사람을 고립시키는가? (0) | 2025.07.01 |
14_나르시시스트는 어떻게 상대를 길들이는가? (0) | 2025.07.01 |
12_나르시시스트가 직장에서 보이는 행동 유형 (0) | 2025.07.01 |
11_나르시시스트와 대화가 어려운 이유 (0) | 2025.07.01 |
10_나르시시스트는 왜 타인을 질투할까? (0) | 2025.07.01 |
09_나르시시스트가 친구 관계에서 보이는 행동들 (0) | 2025.07.01 |